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1

[JSP] JSP의 동작구조 6. JSP의 동작 구조 정적인 페이지에 대한 요청, 즉 HTML, 여러 이미지, 텍스트 파일들에 대한 요청은 웹 서버에서 해결한다. 그리고 동적인 페이지에 대한 요청 즉 JSP 페이지에 대한 요청은 웹 서버에서 JSP 컨테이너로 다시 전달된다. 이렇게 해서 JSP 페이지가 웹 컨테이너에 의해 실행된다. 호출을 통한 JSP 페이지의 내부적인 처리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URL에서 ***.jsp에 대한 요청을 웹 서버에게 하면 웹 서버는 JSP에 대한 요청을 다시 JSP 컨테이너로 넘기게 돈다. 이런 요청을 받은 JSP 컨테이너는 해당 JSP 페이지를 찾아 '서블릿'이라고 부르는 자바 파일로 변환시킨 다음 자바 파일을 컴파일한다. 그런 다음 컴파일된 자바 파일의 실행 결과가 사용자의 브라우저로 전송된다. 단.. 2023. 2. 1.
[웹 프로그래밍] 배치기술자 Web.xml (개념) 5.Web.xml에 대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을 배치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설정한 파일로써 그 이름은 web.xml이다. 이 배치기술자는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 당 하나가 필요하다. 웹 어플리케이션은 웹 컨테이너가 설치된 곳에 설치가 되어 동작할 수 있다. 마치 하나의 프로그램을 다른 컴퓨터에 설치하는 것처럼 웹 어플리케이션 또한 웹 컨테이너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 옮겨져서 실행될 수 있다. 이때 다른 곳에 배치될 웹 어플리케이션이 그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웹 컨테이너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들이 web.xml에 기술되어 있다. 쉽게 말하자면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웹 어플리케이션 안에는 실행해야 할 파일들은 이렇고, 어떤 파일들이 있고, 이렇게 물어보면 이걸 사용해서 알려주도록 해라... 는 식의.. 2023. 2. 1.
[Servlet] Servlet 이해하기(2) (서블릿과 자바의 관계) 4-2. Servlet 이해하기(2) 서블릿은 HTML과 이미지 등이 자바 코드 속에 어우러져 있기 때문에 디자이너는 디자인 변경의 문제가 발생했을 프로그램을 작성한 자바 프로그래머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마찬가지로 자바 코드 안에 디자인적 요소가 함께 있기 때문에 기능적인 변화에 대한 필요가 있을 때도 디자이너가 함께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결국 서블릿은 동적인 부분과 정적인 부분을 분리하기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하지만 서블릿의 특성과 JSP의 특성을 살려서 JSP만으로 된 웹 사이트보다 서블릿과 JSP가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즉 JSP는 화면 출력 부분을 맡고, 서블릿은 처리 부분을 맡아서 처리하는 엡 사이트가 설계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훨씬 효율적인 구성을 할 수 있다. ■ 서블릿과 자바의 .. 2023. 1. 31.
[Servlet] Servlet 이해하기(1) 4-1. Servlet 이해하기(1) JSP를 알기 위해 JSP라는 기술 이전에 탄생되었던 JSP 기반으로 볼 수 있는 서블릿(Servlet)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앞에서 간단하게 설명을 한 것처럼 서블릿은 확장 CGI방식이다. 서블릿이 가지는 형태는 다음의 소스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하나의 완전한 자바 파일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import java.io.*; import javax.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 public class ServletForm extends HttpServlet{ public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 2023. 1. 31.